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News

Worldwide K-Beauty Platform SILICON2

상단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

K뷰티 성장 이끈 실리콘투, 유럽·미국 오프라인 공략 가속화

관리자 2025-10-31 조회수 398

[머니투데이] K뷰티 성장 이끈 실리콘투, 유럽·미국 오프라인 공략 가속화

https://www.mt.co.kr/living/2025/10/29/2025102815363667063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 원본 기사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웨이브 올라탄 K이니셔티브 현장을 가다]<5-K뷰티 대장정>실리콘투②미국·유럽 중심 오프라인 채널 공략

[편집자주] 주식회사 대한민국이 재도약과 도태의 갈림길에 섰다. 'K웨이브'로 달궈진 'K산업'의 성장엔진이 식기 전에 글로벌 영토 확장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머니투데이는 전세계 곳곳을 누비면서 '푸드·리테일·패션·뷰티' 등을 중심으로 'K이니셔티브'를 실현하고 있는 기업들이 고군분투하고 있는 현장을 집중 조명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실리콘투 주요 연혁 (출처: 머니투데이)

2000년대 초반 K뷰티는 중국의 폭발적인 수요에 힙입어 1차 전성시대를 누렸다. 하지만 열기가 오래가지는 못했다. 중국 보따리상에 의해 깔렸던 한국산 화장품들이 외교 이슈 등과 얽히며 빠르게 자취를 감췄기 때문이다.

2020년대 초반부터 다시 불기 시작한 K뷰티 열풍은 미국에서 같은 영미권인 영국으로, 이어 프랑스 등 유럽과 중동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K뷰티의 2차 전성시대는 단일 국가에서 성공한 1차와 달리 진출 국가를 넓히며 중장기 성장세에 접어들었다. 화장품업계에서 과거 1차와 2차 전성기의 명암을 갈랐다고 평가하는 요인 중 하나가 'K뷰티 전문 유통 플랫폼'의 등장이다. 코스닥 상장사인 실리콘투가 그 주인공이다.

한발 앞선 실리콘투 글로벌 전략


실리콘투는 한국산 화장품을 수출하는 유통사다. 한국은 물론 미국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폴란드, 베트남 등에 물류센터를 두고 있다. 역직구몰인 '스타일코리안닷컴'도 운영하면서 글로벌 유통사인 세포라와 울타, 코스트코 등과 손잡고 국내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해당 플랫폼을 통해 500여개에 달하는 화장품 브랜드가 200개 이상 국가에 도매나 소매로 판매되고 있다. 한국콜마와 코스맥스가 중소 브랜드의 제품 '생산'을 돕는다면, 실리콘투는 이 제품을 해외 온·오프라인에서 팔 수 있는 유통 부문을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에이피알의 '메디큐브'를 비롯해 구다이글로벌의 '조선미녀' 등과 같은 K뷰티 히트작들이 해외에서 구조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다.

실리콘투의 해외 유통 전략은 늘 한발짝 앞서 갔다. 미국과 유럽 시장 진출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7월 머니투데이와 가진 인터뷰에서 김성운 대표는 유럽 시장에 주목했다. 당시만해도 미국 이커머스 채널인 아마존을 중심으로 K뷰티가 인기를 끌면서 모두가 북미 시장을 주목하던 때였다. 당시 김 대표는 "미국 아마존 단일 채널에서의 성장으론 K뷰티의 중장기 성장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앞선 1차 K뷰티 전성기 시절 모두가 중국 시장에 집중할 때 미국 시장에 뛰어든 것처럼 미국 외 넥스트 국가로의 진출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실리콘투는 그해 하반기부터 프랑스·영국 등 유럽 각 국가별 법인을 세우기 시작했다. 그렇게 런던과 파리에서 법인을 설립해 오프라인 매장까지 진출한 실리콘투의 전략의 지금의 성공을 이끌었다. 올해 실리콘투의 매출 성장을 이끈 지역은 미국이 아닌 유럽이다.

현재 실리콘는 미국 1호점을 비롯해 영국(2곳)과 프랑스(1곳), 인도네시아(2곳) 등 총 6곳의 해외 오프라인 매장을 선보였다. 특히 직영점인 프랑스 파리 매장은 K뷰티의 테스트베드이자 현지 고객과 브랜드를 직접 연결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런던 모이다 매장에서 제품을 살펴보는 고객들의 모습 (출처: 머니투데이)
K뷰티 성장에 오프라인 유통은 필수..미국·유럽 공략 지속

실리콘투는 지속적으로 한국 제품이 해외에서 노출돼야 K뷰티 열풍이 계속될 수 있단 점에서 오프라인 채널 확장에 집중하고 있다. 잘 만들어진 제품을 온라인에서 직관적으로 소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 지속적으로 노출하면서 판매로 이끌고, 이런 과정에서 긍정적인 사용 경험이 온라인에서 공유될 수 있어야 구조적 성장이 이어질 수 있단 판단에서다.

실리콘투는 내년에도 주요 지역에서 모이다 매장을 늘려간단 계획이다.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뷰티 문화의 성숙도, K뷰티에 대한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진출 국가를 고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과 유럽, 중동 등 주요 거점 도시와 핵심 상권을 중심으로 매장을 확대하면서 K뷰티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모이다 매장의 경우 미국 플로리다와 이탈리아 밀라노 등에서 내년 상반기 개점을 앞두고 있다.

실리콘투 관계자는 "현재 유럽 내에 안정적인 물류 거점을 확보하고 있다"며 "프랑스 파리를 비롯한 주요 도시들, 이탈리아와 독일, 스페인 등에 모이다 매장을 본격적으로 늘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